1. 정책 생성
- IAM 에서 오른쪽 메뉴에 “정책”을 클릭하여 들어간다.
- 오른쪽 상단의 “정책 생성”을 클릭한다.
- 권한 지정 페이지가 나오면 오른쪽 상단의 “JSON” 버튼을 클릭해서 편집기를 변경한다.
- 왼쪽의 음영 진 부분[”Statement”]을 아래 코드 [변경해야 하는 부분] 로 변경해준다.
- 원래 아래와 같이 지정하라고 해서 아래도 지정했었는데 이렇게 해주니까 실제 쥬피터에서 Code Whisperer가 실행되지 않았다.
# 변경해야 하는 부분 (복사 + 붙여넣기!)
{
"Sid": "AmazonQDeveloperPermissions",
"Effect": "Allow",
"Action": ["codewhisperer:GenerateRecommendations"],
"Resource": "*"
}
- 오른쪽 하단에 있는 “다음” 버튼을 클릭한다.
- 정책 이름과 설명을 작성한 후, (아래로 이어짐)
- 오른쪽 하단 “정책 생성” 버튼을 클릭한다.
- IAM > 정책 페이지에서 확인하면 해당 정책이 제대로 생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.
2. 정책 연결
- 해당 정책의 라디오 버튼을 클릭 후 오른쪽 상단의 “작업” > “연결”을 클릭한다.
- 연결하는 창으로 넘어가면, 필터링 기준 엔터티 유형에서 “IAM users” 로 변경 후 연결 할 엔터티를 찾는다.
- 해당 엔터티를 클릭 후, (아래로 이어짐)
- 오른쪽 하단에 “정책 연결” 을 클릭하면 연결은 끝!
3. SageMaker 에서 적용하기
- Amazon SageMaker 에 접속한다.
- 작성자 기준 Notebooks 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노트북 인스턴스에서 JupyterLab을 열었다.
- Launcher 에서 Other > Terminal 로 접속한다.
- 아래 코드를 터미널에서 실행시킨 후 재실행한다.
# 작성해야 하는 부분 (복사 + 붙여넣기!)
conda activate studio
pip install amazon-codewhisperer-jupyterlab-ext~=1.0
jupyter server extension enable amazon_codewhisperer_jupyterlab_ext
conda deactivate
restart-jupyter-server
- 재실행해서 들어갔는데 위와 같은 오류가 뜰 경우, 아래와 같이 적용 후 브라우저를 재실행한다.
- 아래 코드를 터미널에서 실행시킨다.
# 작성해야 하는 부분 (복사 + 붙여넣기!)
jupyter server extension enable amazon_codewhisperer_ jupyterlab_ext
- 하단에 CodeWhisperer 가 실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.